티스토리 뷰
목차
갑작스러운 위기 상황, 어디에 도움을 요청해야 할지 막막하셨던 분들께 이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.
2025년 긴급복지지원제도의 대상, 신청방법, 지원내용을 하나씩 정리해드릴테니 위기상황에 조금이나마 보템이 되시길 바랍니다. 바로 신청해보세요!

위기 상황, 도움 받을 수 있을까요?

요즘들어 산불, 비행기사고등 대형 참사가 계속되고 있어 너무 안타깝습니다. 이런 대형참사 뿐 아니라 여러가지 긴급 상황별로 복지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갑작스럽게 생계를 잃었거나 집을 잃었을 때, 당장 병원비가 없어 치료를 못 받을 상황이라면, 망설이지 말고 긴급복지지원제도를 활용해보세요.
이 제도는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에 놓인 저소득 가구에게 생계비, 의료비, 주거비 등을 신속하게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어떤 사람이 신청할 수 있나요?

아래에 해당하는 위기 상황이라면 긴급지원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가구 소득자의 사망, 실직, 폐업, 휴업, 구금 등으로 소득 상실
-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
- 가정폭력, 학대, 유기, 방임 등으로 생계 유지가 곤란한 경우
- 화재, 자연재해 등으로 거주불능 상태가 된 경우
- 이혼, 단전, 사회보험료·임대료 체납, 자살 위험군 등 지방자치단체 조례로 정한 경우
신청 전 상담을 통해 대상 여부를 판단하므로 해당이 되는지는 먼저 문의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
어떤 기준이 적용되나요?
소득 기준: 기준중위소득 75% 이하 (4인 기준 457만 3,330원)
재산 기준: 일반+금융+주거재산에서 공제 후
- 대도시: 2억 4100만원 이하
- 중소도시: 1억 5200만원 이하
- 농어촌: 1억 3000만원 이하
금융재산 기준: 4인 기준 1209만 7000원 이하 (주거지원 시 200만 원 추가 허용)

어디서 신청하나요?
- 거주지 관할 시·군·구청 또는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
- 또는 보건복지상담센터(129)로 전화
어떤 서류가 필요하나요?
신청인 제출서류: 신분증, 금융정보제공동의서, 기타 상황별 서류
공무원 확인서류: 주민등록등본, 수급 중단내역, 체납 증빙 등 사안에 따라 상이
신청 후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?

- 1단계: 위기상황 신고 및 요청 → 지원요청 확인
- 2단계: 현장확인 → 서식작성 → 내역 등록
- 3단계: 사후조사 및 적정성 심사
- 4단계: 지원 결정 통보 → 지원금 지급(e호조 연계)
※ 결과에 불복 시 이의신청 가능 (30일 이내, 시·군·구 또는 시·도에 제출)
마무리 안내
갑작스러운 위기상황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그 상황을 혼자 감당하려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
지금이라도 관할 주민센터나 상담센터에 연락해보시고 적극적이고 신속한 도움을 받아보세요!
'복지_생활 지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부모가족 유아학비·보육료·수당 총정리 (0) | 2025.05.16 |
---|---|
한부모가족 저소득·청소년 아동 양육비 지원 총 정리 (0) | 2025.05.15 |
한부모가족 임신·출산 지원금 3종 신청안내 (0) | 2025.05.14 |
근로자 육아 돌봄 지원제도 총정리 (0) | 2025.05.11 |
근로자 임신·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총정리 (0) | 2025.05.09 |
근로자 출산휴가·육아휴직 급여 총정리 (0) | 2025.05.08 |
스포츠 강좌 이용권 카드 발급부터 수강신청까지 (0) | 2025.04.30 |
부산 임산부 콜택시 '마마콜' 신청 방법과 할인 혜택 안내 (0) | 2025.04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