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아이와 함께 살아가기도 바쁜 한부모정에 쌓여만 가는 부담감때문에 힘드신가요? 이런 걱정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소액보험과 자산 형성을 돕는 희망저축계좌Ⅰ·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
     

    2025년 기준, 한부모가족을 위한 이 지원들을 알기 쉽게 정리했으니, 꼭 챙겨보세요!

     

    한부모가족 소액보험 희망저축계좌 신청방법정리 5-2편

   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시리즈 안내

    이번 포스팅에 앞서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의 전체 구성을 정리했습니다.

     

    대분류

    시리즈

    주요 내용

    비고

    ① 임신·출산 1편 출산휴가급여, 해산급여 등 작성 완료
    ② 양육·돌봄 2-1편 아동양육비, 청소년한부모 지원 등 작성 완료
    2-2편 유아학비, 보육료, 아동수당 등 작성 완료
    2-3편 아이돌봄서비스, 지역아동센터 등 작성 완료
    2-4편 미숙아, 기저귀 등 의료·위생지원 작성 완료
    2-5편 긴급복지지원, 온가족보듬사업 등 작성 완료
    ③ 시설·주거 3편 한부모복지시설, 공공주택 등 작성 완료
    ④ 교육·취업 4-1편 자녀 교육비, 장학금 등 작성 완료
    4-2편 새로일하기센터, 국민취업지원 등 작성 완료
    ⑤ 금융·법률 5-1편 근로·자녀장려금, 미소금융 등 작성 완료
    5-2편 소액보험, 희망저축계좌Ⅰ·Ⅱ 등 이번 포스팅
    5-3편 양육비 이행지원, 무료법률구조 등 예정
    ⑥ 기타 복지 6-1편 요금감면혜택, 에너지바우처 등 예정
    6-2편 운전면허 교육, 스포츠 강좌 이용권 등 예정
    6-2편 상담 지원, 미혼부 자녀 출생신고 등 예정
    6-4편 출생신고 완료 전 지원, 양육비 이행확보 등 예정
    6-5편 법률 지원, 양육비 이행 관리 등 예정
    6-6편 면접교섭 서비스, 한시적 양육비 긴급지원 등 예정

    이번 글은 5-2편으로 소액보험과 희망저축계좌 신청방법을 다룹니다.

     

    소액보험: 한부모가정의료보험

    의료비 걱정 없는 한부모가족을 위해! 한부모가정의료보험은 보험료 없이 아동과 부양자를 지원해요. 기수별 조건 확인하고 혜택 놓치지 마세요!

    지원 대상

    • 1기(2020.07.31.~2022.07.30.): 한부모가족 18세 미만 아동과 부양자(친권자), 아동양육비 지원대상자, 생계·의료급여 비대상자
    • 2기(2022.07.31.~2024.07.30.): 한부모가족 14세 미만 아동과 부양자(친권자), 아동양육비 지원대상자, 생계·의료급여 비대상자
    • 3기(2024.07.31.~2027.07.30.): 한부모가족 18세 미만 아동과 부양자(친권자), 아동양육비 지원대상자, 생계·의료급여 비대상자

    지원 내용

    • 보험료: 전액 무료, 별도 가입 절차 없이 자동 가입
    • 보험금: 상해·질병 의료비 지원(상세 보장은 서민금융진흥원 누리집 확인)

    신청 방법

    • 문의: 서민금융콜센터(☎1397), 한부모가정의료보험(☎02-3471-5116),
    • 카카오톡("서금원 한부모가정의료보험 접수센터" 검색)
    • 서류: 보험금 청구 시 양식 및 필수 서류(서민금융진흥원 누리집 “상품안내문” 확인)

    유의사항

    • 청구: 상해·질병 발생 후 3년 내 보험금 청구 필수
    • 확인: 보장 내용 및 약관은 서민금융진흥원 누리집(www.kinfa.or.kr)에서 확인

    희망저축계좌Ⅰ: 자립을 위한 첫걸음

    자산형성사업 희망저축계좌(출처:보건복지부)
    자산형성사업 희망저축계좌(출처:보건복지부)

    한부모가족의 자립을 응원해요! 희망저축계좌Ⅰ은 저축하면 정부가 3배 지원해줘서 생계 탈출을 도와줍니다. 지금 시작해보세요!

    지원 대상

    • 일반시장 또는 자활시장에서 일하는 생계·의료수급 가구.

    지원 내용

    • 저축: 매월 10만원 본인 저축 시 정부지원금 30만원 매칭 적립.
    • 목적: 생계·의료 탈수급 지원.

    신청 방법

    • 신청: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, 주민센터.
    • 문의: 자산형성지원콜센터(☎1522-3690), 보건복지상담센터(☎129).

    유의사항

    • 조건: 근로활동 지속, 3년 내 생계·의료 탈수급 필수.
    • : 신청 전 자산형성지원콜센터로 소득 확인하세요!

    희망저축계좌Ⅱ: 안정된 미래 준비

    한부모가족의 내일을 위해! 희망저축계좌Ⅱ는 저축하면 정부가 1:1 매칭으로 지원해요. 자립의 첫걸음, 지금 시작하세요!

    지원 대상

    • 일반시장  자활시장에서 일하는 주거·교육 수급가구  차상위계층 가구

    지원 내용

    • 저축: 꾸준히 근로하면서 매월 10만 원을 저축하면, 정부지원금 10만  지원
    • 목적: 주거·교육 등 자산형성 지원.

    신청 방법

    • 신청: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, 주민센터.
    • 문의: 자산형성지원콜센터(☎1522-3690), 보건복지상담센터(☎129).

    유의사항

    • 조건: 3년간 저축 유지, 근로소득 필수.
    • : 신청 전 콜센터로 대상 여부 확인하면 빠릅니다!

    마무리

    소액보험으로 안전망을, 희망저축계좌로 미래를 준비하세요! 한부모가족을 위한 이 지원들은 조건 맞으면 신청도 간단하답니다.

     

    주민센터나 서민금융콜센터로 지금 문의해보세요.

     


    ※ 본 게시물에 사용된 자료는 여성가족부 「2025년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종합안내서」를 인용하였으며, 공공누리 제1유형 조건에 따라 출처를 표시하고 활용하였습니다.

    반응형